세후 급여계산의 원리와 방법, 4대 보험계산기에 대해 알아보세요.
오늘의 주제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자세히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세후 급여 계산 원리와 방법, 4대 보험 계산기를 살펴보겠습니다.
세전 및 세후 계산 원칙
먼저 연봉 계산에 사용되는 주요 개념인 세전 계산과 세후 계산을 살펴보겠습니다.
1. 세전 세전금액은 세금을 공제하기 전 금액입니다.
고용계약서를 작성하고, 입사 시 연봉계약을 체결할 때, 계약서에 기재된 금액은 세전 금액입니다.
2. 세후 급여에서 12개월로 나눈 금액을 매달 그대로 입금하면 좋겠지만, 급여에서 아래와 같이 각종 세금을 공제하고 입금하는 것입니다.
4대보험, 근로소득항목별 소득세, 주민세(지방소득세) 등 각종 세금을 제외하고 실제로 내 계좌에 들어오는 금액을 ‘세후’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세전과 세후의 실제 계산은 어떻게 될까요? 1. 일상을 풍요롭게 해주는 우리친구 네이버 연봉계산기를 통해 먼저 세액공제 항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 네이버에서 연봉계산기를 검색해 보세요. 예) 연봉이 50인 직장인의 연봉계산기를 실제로 사용해 봤을 때 100만원, 알고보니:4 주요보험에 속하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료”에서 근로소득세와 주민세(지방소득세)가 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세전 연봉은 5천만원, 세전 월급은 5천만원 ¼ 12 = 416만6천원이다.
그런데 여기서 모든 것을 빼면 실제 세후 연봉은 43,007,720원, 세후 월급은 3,583,977원이다.
확인될 수 있었습니다.
연봉 5000만원 중 매년 약 700만원 정도를 세금으로 공제한다.
4대 보험계산기 이번에는 내 급여의 각 세부 항목 중 정확히 몇%가 세금으로 들어가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4대 보험의 가입비를 취업자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산재보험의 경우 직장에서 지급한 금액은 전액 사업주가 부담하고,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는 보험료 요율의 50%를 사업주가 부담하고 나머지는 본인이 부담합니다.
4대 보험계산기의 경우 위에 보이는 네이버 연봉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위에서는 연봉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번에는 월급을 기준으로 월급에서 얼마만큼 공제되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
위 표에 표시된 비율로 공제되는지 확인하세요. 할 수 있어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제되는 것은 소득세 + 주민세(지방소득세) 입니다!
돈을 많이 벌수록 소득세를 더 많이 내게 됩니다.
납부하는 소득세액은 각 소득구분별 과세표에 따라 다릅니다.
출처 : 홈택스* 2023년 2월 28일부터 현재까지 근로소득 간이과세표 첨부파일 2023_근로소득 간이과세표(간이과세표).pdf 파일 다운로드 내 컴퓨터에 저장 네이버 MYBOX에 저장 예를 들어 월 세전 급여 천만입니다.
공제 대상 가족이 1명인 직장인은 매달 소득세를 무려 150만7400원이나 내야 한다.
또한 해당 소득세액의 10%가 주민세(지방소득세)로 공제됩니다.
위 표의 예시에서 월급이 1,000(세전)인 경우, 1,507,400은 단지 예시에 불과했습니다.
벌수록 가져가는 것도 많아지는데… ?다음번에는 2024년 연봉표를 정리해서 가져와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