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보험계산기의 세전, 세후 계산 원리와 방법을 알아보세요.

세후 급여계산의 원리와 방법, 4대 보험계산기에 대해 알아보세요.

오늘의 주제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자세히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세후 급여 계산 원리와 방법, 4대 보험 계산기를 살펴보겠습니다.

세전 및 세후 계산 원칙

먼저 연봉 계산에 사용되는 주요 개념인 세전 계산과 세후 계산을 살펴보겠습니다.

1. 세전 세전금액은 세금을 공제하기 전 금액입니다.

고용계약서를 작성하고, 입사 시 연봉계약을 체결할 때, 계약서에 기재된 금액은 세전 금액입니다.

2. 세후 급여에서 12개월로 나눈 금액을 매달 그대로 입금하면 좋겠지만, 급여에서 아래와 같이 각종 세금을 공제하고 입금하는 것입니다.

4대보험, 근로소득항목별 소득세, 주민세(지방소득세) 등 각종 세금을 제외하고 실제로 내 계좌에 들어오는 금액을 ‘세후’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세전과 세후의 실제 계산은 어떻게 될까요? 1. 일상을 풍요롭게 해주는 우리친구 네이버 연봉계산기를 통해 먼저 세액공제 항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 네이버에서 연봉계산기를 검색해 보세요. 예) 연봉이 50인 직장인의 연봉계산기를 실제로 사용해 봤을 때 100만원, 알고보니:4 주요보험에 속하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료”에서 근로소득세와 주민세(지방소득세)가 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세전 연봉은 5천만원, 세전 월급은 5천만원 ¼ 12 = 416만6천원이다.

그런데 여기서 모든 것을 빼면 실제 세후 연봉은 43,007,720원, 세후 월급은 3,583,977원이다.

확인될 수 있었습니다.

연봉 5000만원 중 매년 약 700만원 정도를 세금으로 공제한다.

4대 보험계산기 이번에는 내 급여의 각 세부 항목 중 정확히 몇%가 세금으로 들어가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4대 보험의 가입비를 취업자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산재보험의 경우 직장에서 지급한 금액은 전액 사업주가 부담하고,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는 보험료 요율의 50%를 사업주가 부담하고 나머지는 본인이 부담합니다.

4대 보험계산기의 경우 위에 보이는 네이버 연봉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위에서는 연봉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번에는 월급을 기준으로 월급에서 얼마만큼 공제되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

위 표에 표시된 비율로 공제되는지 확인하세요. 할 수 있어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제되는 것은 소득세 + 주민세(지방소득세) 입니다!
돈을 많이 벌수록 소득세를 더 많이 내게 됩니다.

납부하는 소득세액은 각 소득구분별 과세표에 따라 다릅니다.

출처 : 홈택스* 2023년 2월 28일부터 현재까지 근로소득 간이과세표 첨부파일 2023_근로소득 간이과세표(간이과세표).pdf 파일 다운로드 내 컴퓨터에 저장 네이버 MYBOX에 저장 예를 들어 월 세전 급여 천만입니다.

공제 대상 가족이 1명인 직장인은 매달 소득세를 무려 150만7400원이나 내야 한다.

또한 해당 소득세액의 10%가 주민세(지방소득세)로 공제됩니다.

위 표의 예시에서 월급이 1,000(세전)인 경우, 1,507,400은 단지 예시에 불과했습니다.

벌수록 가져가는 것도 많아지는데… ?다음번에는 2024년 연봉표를 정리해서 가져와보겠습니다!